대순사상은 세계 문명 위기 해결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? - 내용 일부발췌 Ⅱ. 해원상생과 세계적 문명 위기의 극복 한국 신종교는 기존 사회와 종교에 대한 비판 의식을 근간으로 시대 변화에 대응하여 태동한 새로운 차원의 종 | 기획 - 불멸
예부터 사람들은 “언(言)은 의(意)를 다 나타내지 못한다.” 하여 신비한 수(數)에다 그들의 철학관과 우주관, 심리적 상태 등을 함축시켜 표현하곤 하였다. 우주의 신비를 세상에서 흔히 쓰는 언어로는 그 뜻을 다 나타낼 수 없었기 때문에 은유적이고 상징적 언어인 숫자를 | 기획 - 천상
대순종학지 5집에 실린 논문 - <요약>[전경]에서 증산은 일본이 맺은 세가지 한(三恨,Three Resentments)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. 삼한 중 첫 번째 한은 당시 일본군은 서울에 들어오지 못하였던 것이고,두번째 한은 무고한 인명이 많이 살 | 기획 - 크리스탈紅
사적으로 유서 깊은 고부 땅에 대성인(大聖人)께서 오셨다상제님의 탄강지(誕降地) - 문화재인 정읍시의 향토유산으로 지정 글 나종우 (문학박사·원광대 명예교수) 세상의 돌아가는 이치는 지금 우리가 잘 모르고 깨닫지 못해서 | 기획 - 불멸
교운 1장 9절 속 지하의 의미 - 무가 속 창세신화를 중심으로- 널리 쓰이는 말에는 일상적 정서에 의해 고착된 어감이라는 것이 있다. ‘지하(地下)’라는 말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. 뭔가 모를 어둠과 공포를 안고 있는 이 | 기획 - 천상
<목차>Ⅰ. 들어가며 Ⅱ. 진법주로 이해하는 영대와 내정 Ⅲ. [여조전서]가 말하는 ‘영대’와 ‘내정’ Ⅳ. 정리하며 Ⅰ. 들어가며 이 글의 목적은 진법주와 [여조전서(呂祖全書)]라고 하는 두 가지 | 기획 - 천상
수강의 역사 1969년 종단 대순진리회 창설 이후 도인 교육 과정으로 수강을 시행하였다. 수강은 도인들의 심신 연마와 진리 이해 및 심화,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과정이다. 종단의 역사에서 수강은 도인들의 교리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면서 1980년 8월 10일( | 기획 - 불멸
대순종학지 3집에 실린 논문 - <요약>[전경] 공사 3장 14~15절에 언급되고 있는 진묵과 봉곡의 비극적 서사는 그간 참혹한 죽음으로 인해 진묵이 원을 품고 도통신을 이끌고 이 땅을 떠났으며, 훗날 증산은 해원공사를 통해 이들이 귀환 | 기획 - 할방
글 이병욱 1. 대순사상의 진묵설화에 대한 관점 [전경]에서는 이 화신불의 이미지를 수용해서 진묵을 불교의 종장(宗長)으로 삼는다. 이는 진묵이 불교계를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것이다. 또 어느 날 상제께서 말씀하시길 「선도 | 기획 - 비상
Ⅱ. 도통과 도통진경 대순진리회 도인의 궁극적 목적은 도통(道通)이다. 도인에게 도통이란 대순진리에 통하여 도통군자(道通君子)가 되는 것이다. 증산은 우리나라가 상등국이 되고 금강산 1만 2천 봉에 응기하여 도통군자가 나온다고 언명하였다.8  | 기획 - 크리스탈紅